2025 한일 평화통일포럼 '한일 수교 60 주년, 성찰과 미래비전'
-
- 지역회의ㆍ협의회
- 일본근기
-
- 행사일
- 2025-03-28 14:00 ~ 2025-03-28 17:00
-
- 장소
- 오사카 제국호텔
‘2025 한일 평화통일포럼’이 3월 28일 오사카 제국호텔에서 "한일 수교 60주년 성찰과 미래비전"을 주제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일본지역회의 (부의장 손영태)가 주최하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일본근기협의회가 주관하였으며, 민주평통 사무처 동승철 사무차장과 120여 명의 내외 귀빈이 참석했다.
손영태 민주평통 일본부의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포럼이 한일 간 협력과 연대를 위한 생산적인 논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하며, 한일 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 정착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서 진창수 주오사카 총영사, 박도병 일본근기협의회장, 김명홍 민단오사카지방본부 단장, 동승철 사무차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포럼은 두 개의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첫 번째 세션에서는 ‘국교 수립 60주년의 한일관계: 회고와 과제’를 주제로
경남대 조진구 교수의 사회로 토론이 진행되었다.
조용래 전 한일의원연맹 사무총장은 “향후에도 한일관계가 양자 간의 문제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환경 속에서 다양한 대상과 이슈가 공존하는 관계임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핫토리 류지(服部龍二) 주오대학 종합정책학부 교수는 국교 정상화 당시의 총리였던 사토 에이사쿠, 최초로 한국을공식 방문한 총리인 소네 야스히로, 21세기를 대표하는 아베 신조에 초점을 맞추어 한일기본조약 이후 60년을 회고하고 미래를 전망했다.
발제에 이어 한일 전문가들이 양국 관계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며 토론을 이어갔다.
한국측 토론자로 참여한 김승영 간사이외국어대학 국제공생학부 교수는 “국가적 차원에서 외교의 역할과 영역을 인정하고, 상호 정부간 합의를 지켜야 하며, 외교관들이 협상을 통해 한일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가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역할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측 토론자로 참여한 나카토 사치오(中戸祐夫) 리츠메이칸대학 국제관계학부 교수는 “한일 양국 정부가 협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략적 이익의 차이와 역사문제가 상호의 이익을 저해 하지 않는 대응과 정책협조를 형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서 히라이와 슌지(平岩俊司) 난잔대학 종합정책학부 교수의 사회로 2세션이 시작되었다.
2세션에서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한일 교류 협력 방향’을 주제로, 한일 관계를 ‘사회·문화, 경제, 차세대’로 나누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발제와 토론을 진행했다.
사회・문화 분야 패널로 참여한 손현진 히로시마시립대학 평화연구소 교수는 한일 양국이 추진해 온 공공외교의 차원에서 한일간 교류협력 분야에 대해 살펴보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한일 관계를 위한 한일 양국간의 과제를 제언했다. 한일 양국의 향후 과제로 △대일본 사회문화 협력에 있어 민간 주도와 정부의 측면 혹은 뒤에서의 지원. △일방적 전달이 아닌 상황이나 특성 등을 고려한 사회문화 교류협력.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문화 교류 추진 등을 들었다.
야마모토 조호(山本浄邦) 리츠메이칸대학 강사는 K-POP의 발전 과정에서 일본 시장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앞으로도 한일 음악 산업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향후 K-POP 일본 시장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앞으로도 한일 음악 산업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다음으로 계속된 경제분야의 토론에서 이창민 한국외국어대 융합일본지역학부 교수는 한일 양국이 경제협력의 심화를 위하여 △한일 제약·바이오산업의 상호보완적 협력 강화 및 규제 장벽 완화△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 속 한일 공급망 연계 강화와 기술협력을 통한 리스크 분산, △ 한일 저출산 공동대응 체계 구축 및 청년 인재 교류 활성화를 제언했다.
이주인 아쓰시(伊集院敦) 일본경제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인구 감소 문제는 양국 모두가 직면한 중요한 과제로, 한일 양국이 협력하여 고급 인력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양국 지방 경제의 생산성을 높이고 지역 발전 전략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차세대 부문의 페널로 참여한 권연이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연구원은 “한일 양국의 젊은 세대가 중심이 되어 열린 소통과 교류를 지속할 때, 상호신뢰 회복과 평화로운 공존이 가능할 것이고, 이를 위해 정부, 민간,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자유롭고 체계적인 교류협력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나리카와 아야 모모컬쳐브릿지 대표는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의 양국의 문화교류를 돌아보고 최근의 한일 합작 작품을 통해 향후 지속 가능한 한일 문화 교류에 대하여 고찰하였습니다. “비록 당장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그것은 또 다른 형태로 미래의 교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2025 한일 평화통일 포럼’은 한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며, 2025년 EXPO를 앞두고 양국의 평화와 공존을 위한 성찰과 미래비전을 모색한 의미 있는 행사였다.
<김민선 민주평통 청년기자 checil00@gmail.com>
- 지역회의/협의회 : 일본근기
- 작성자 : 지역협의회
- 작성일 : 2025.03.30
- 조회 : 54
-
※ 사용편의성조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