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주요활동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언론에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사후)민주평통 제39차 남북관계 전문가 토론회 개최(9.25.)  * 9.26.기 배포

국민이 중심이 되는 한반도 평화·통일정책 방향 모색

- 민주평통 제39차 남북관계 전문가 토론회 개최(9.25.)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장 방용승)는 지난 9월 25일 라마다속초호텔 오슬로홀에서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관련 국정과제의 정책 방향을 구체화하고, 실질적인 실행 방안과 함께 민주평통의 역할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제39차 남북관계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국민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통일정책,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를 대주제로 개최된 이번 토론회는 학계, 시민사회 등 남북관계 전문가 20여 명이 참여하여 토론을 진행했다. 


 방용승 사무처장은 개회인사에서 “남북관계와 국제정세를 볼 때 우리는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평화와 통일을 위한 힘과 지혜를 모으는 일은 국민의 이해와 공감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 대북·통일정책 참여 확대 방안'을 주제로 진행된 1세션에서 윤창원 서울디지털대 교수는 “평화와 통일은 정부의 정책만으로 달성할 수 있는 과제가 아니며, 국민적 합의와 적극적 참여가 함께할 때 비로소 안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한국 사회에서 시민들의 참여 욕구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민주평통이 ‘생활 밀착형 공론장'을 제도화 하고, 지역 주민이
평화·통일 문제를 일상적 경험과 연결하여 논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통 채널을 마련해야"한다고 말했다. 


  정일영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대북·통일정책 참여 공간에서 미래세대와 여성, 현장 활동가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미래세대가 정책 수용자 혹은 교육 대상이 아닌 한반도 미래 구상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계 전문가들은 국민이 대북·통일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로서 ‘사회적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민주평통이 국내외 풀뿌리 조직의 강점을 살려 다양한 지역·계층·분야의 목소리를 담아 낼 수 있도록 역할을 강화하고, 시간적·물리적 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다양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주문했다. 


 이어서 ‘평화·통일·민주시민교육 추진 방향’을 주제로 진행된 2세션에서 문아영 피스모모 대표는 “정부가 표방하는 평화가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민주시민교육은 국민이 정책적 효능감을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민주평통은 지속적인 의견 수렴 및 토론의 장 마련 등을 통해 국민들이 이러한 경험을 축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진헌 국립통일교육원 교수는 “통일의 당위성보다는 평화가 일상적 안전·민주주의·경제발전의 조건을 명확히 하는 ‘실용적 평화론’ 기반의 교육이 필요하며, 단지 민족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시민으로서 함께 풀어야 할 보편적 과제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참여적·체험적 교육방식으로의 전환과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시민단체, 해외 재외동포 사회와 연계된 구조로 확장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평화·통일·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이 개인의 일상적 경험과 연계되어야 함에 공감하고,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 정부정책의 지속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민주평통의 국민참여 플랫폼 및 글로벌 네트워크 허브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함께했다.


붙임 1. 제39차 남북관계 전문가 토론회 개요 1부

        2. 행사 사진(별첨)

첨부파일 :
  • 소속명 : 미디어소통과
  • 작성자 : 이연우
  • 연락처 : 02-2250-2265
  • 작성일 : 2025.10.24
  • 조회 : 72

※ 사용편의성조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