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민주평통 제39차 남북관계 전문가 토론회 개최(9.25.) * 9.26.기 배포
국민이 중심이 되는 한반도 평화·통일정책 방향 모색
- 민주평통 제39차 남북관계 전문가 토론회 개최(9.25.) -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장 방용승)는 지난 9월 25일 라마다속초호텔 오슬로홀에서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관련 국정과제의 정책 방향을 구체화하고, 실질적인 실행 방안과 함께 민주평통의 역할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제39차 남북관계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 ‘국민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통일정책,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를 대주제로 개최된 이번 토론회는 학계, 시민사회 등 남북관계 전문가 20여 명이 참여하여 토론을 진행했다.
□ 방용승 사무처장은 개회인사에서 “남북관계와 국제정세를 볼 때 우리는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평화와 통일을 위한 힘과 지혜를 모으는 일은 국민의 이해와 공감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국민의 대북·통일정책 참여 확대 방안'을 주제로 진행된 1세션에서 윤창원 서울디지털대 교수는 “평화와 통일은 정부의 정책만으로 달성할 수 있는 과제가 아니며, 국민적 합의와 적극적 참여가 함께할 때 비로소 안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한국 사회에서 시민들의 참여 욕구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민주평통이 ‘생활 밀착형 공론장'을 제도화 하고, 지역 주민이
평화·통일 문제를 일상적 경험과 연결하여 논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통 채널을 마련해야"한다고 말했다.
□ 정일영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대북·통일정책 참여 공간에서 미래세대와 여성, 현장 활동가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미래세대가 정책 수용자 혹은 교육 대상이 아닌 한반도 미래 구상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각계 전문가들은 국민이 대북·통일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로서 ‘사회적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민주평통이 국내외 풀뿌리 조직의 강점을 살려 다양한 지역·계층·분야의 목소리를 담아 낼 수 있도록 역할을 강화하고, 시간적·물리적 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다양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주문했다.
□ 이어서 ‘평화·통일·민주시민교육 추진 방향’을 주제로 진행된 2세션에서 문아영 피스모모 대표는 “정부가 표방하는 평화가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민주시민교육은 국민이 정책적 효능감을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민주평통은 지속적인 의견 수렴 및 토론의 장 마련 등을 통해 국민들이 이러한 경험을 축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 정진헌 국립통일교육원 교수는 “통일의 당위성보다는 평화가 일상적 안전·민주주의·경제발전의 조건을 명확히 하는 ‘실용적 평화론’ 기반의 교육이 필요하며, 단지 민족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시민으로서 함께 풀어야 할 보편적 과제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참여적·체험적 교육방식으로의 전환과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시민단체, 해외 재외동포 사회와 연계된 구조로 확장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 참석자들은 평화·통일·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이 개인의 일상적 경험과 연계되어야 함에 공감하고,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 정부정책의 지속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민주평통의 국민참여 플랫폼 및 글로벌 네트워크 허브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함께했다.
붙임 1. 제39차 남북관계 전문가 토론회 개요 1부
2. 행사 사진(별첨)
- 첨부파일 :
-
-

(사후)보도자료_제39차 남북관계전문가토론회_0926배포.pdf
(다운로드 7 회)
-
- 소속명 : 미디어소통과
- 작성자 : 이연우
- 연락처 : 02-2250-2265
- 작성일 : 2025.10.24
- 조회 : 72
-
※ 사용편의성조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