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기 인천지역회의 개최(10.22.)
제21기 인천지역회의 개최(10.22. 인천시청)
-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을 위한 인천지역 자문위원 의지 결집 -
<회의 전경>
인천지역회의(부의장 한도섭)는 10월 22일(화)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인천지역 자문위원 3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1기 인천지역회의」를 개최하였다.
<개회식>
민주평통 의장인 윤석열 대통령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8.15 통일 독트린’의 취지를 밝히면서, "자유 통일 대한민국의 미래로 나아가려면 무엇보다 우리 국민이 자유의 의미와 가치체계에 대해 굳건한 믿음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자문위원들에게 “우리의 자유와 번영을 굳건히 지켜낼 수 있도록, 앞으로도 자문위원께서 앞장서 주시기를 바라고, 북한주민들이 자유 통일을 간절히 열망할 수 있도록 꿈과 희망을 불어넣는 일에도 더욱 힘써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한도섭 인천부의장 개회사 >
한도섭 인천부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인천지역회의 활동 방향과 자문위원들의 실천적 역할을 제시하면서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을 위해 인천지역 자문위원들이 앞장서 주기를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
< 태영호 사무처장 인사 >
태영호 사무처장은 “인천에는 북한이탈주민이 3천여명 가까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에 민주평통 인천지역 협의회들도 멘토링 및 북한이탈주민지원 사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자문위원들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리며, 아울러 대행기관장인 유정복 인천광역시장께서 8·15 통일독트린 실천에 관한 민주평통 사업을 적극 지원해주고 계신 점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축사 >
대행기관장인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축사를 통해 "민주평통 자문위원은 정책에 대한 평론가가 되기 보다 자유 대한민국의 가치 수호에 앞장서는 역할이 중요할 것이며, 인천은 인천상륙작전 등 자유의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역사적 유산이 남아있는 곳으로 접경지역 주민이자 자문위원으로서 안보와 평화의 가치를 더욱 소중하게 여기고 다른 지역보다 더 크고 무거운 역할과 책임의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할 것" 이라는 뜻을 밝혔다.
< 정해권 인천시의회의장 축사 >
정해권 인천시의회의장은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와 시설물 폭파 등 위협과 긴장 속에서도 평화를 위한 걸음을 멈추지 말아야 하며, 오늘 인천지역회의가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을 향한 인천지역 자문위원들의 뜻을 다시 한번 결집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고 말했다.
< 통일 대북 정책 추진현황 보고>
이어 오대석 통일부 기획조정실장으로부터 현재 정부의 통일·대북정책 추진 현황을 듣는 시간을 가지며 정부 통일 정책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
< 제21기 인천지역 활동현황 보고>
이영림 인천지역회의 간사는 제21기 인천지역회의 활동현황을 보고했으며, 2024년 들어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지원 사업 및 멘토링사업 현황을 전체 인천지역 위원들과 공유하였다.
< 인천지역 정책건의안 발표 >
인천지역 정책건의안 발표에서는 ‘8.15 통일 독트린에 관한 세부 추진방안‘으로 중구협의회 김정헌 자문위원이 △북한 주민의 정보접근권 확대를 통한 의식변화 방안, 계양구협의회 조광호 자문위원이 △남북한 대화 협의체 설치 방안, 서구협의회 윤큰별 자문위원이 △통일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각각 제안하였다.
<결의문 낭독>
인천지역 자문위원들은 국민과 함께하는 자유민주주의 기반 통일준비와 ‘8.15 통일 독트린’ 실현을 위한 의지를 결집하는 ‘자유 평화 번영의 대한민국을 위한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결의문은 회의 개최 전 인천지역 10개 협의회 자문위원들에게 사전열람 및 의견을 수렴하여 채택되었으며, 박현심 인천지역회의 여성위원장과 윤성백 부평구협의회 청년위원장이 대표로 결의문을 낭독하였다.
< 인천지역회의 단체사진 >
인천지역 자문위원들은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 슬로건을 함께 드는 퍼포먼스를 통해 통일의지를 표하고, 8.15 통일 독트린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한 통일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기로 다짐하며 회의를 마무리하였다.
- 소속명 : 중부지역과
- 작성자 : 오정아
- 연락처 : 02-2250-2249
- 작성일 : 2024.10.24
- 조회 : 534
-
※ 사용편의성조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