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 평화통일포럼 개최(6.19.)
2025 서울 평화통일포럼 개최(6.19.)
“국제정세 전환기 통일환경 조성을 위한 우리사회의 노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지역회의(부의장 윤동한)는 6월 19일(목), 서울글로벌센터에서 ‘2025 서울평화통일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포럼연구위원, 자문위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정세 전환기 통일환경 조성을 위한 우리 사회의 노력’을 대주제로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됐다.
포럼은 윤동한 서울부의장의 개회사로 시작됐다. 윤동한 부의장은 “이번 포럼이 통일 담론을 확산하고 지역 사회의 다양한 통일 여론을 수렴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태영호 사무처장은 인사말을 통해 “현재 국제 정세는 전례 없는 격변기를 맞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반도 통일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와 시민사회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에 대한 좋은 아이디어들이 제시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포럼의 본격적인 논의는 윤여상 서울평화통일포럼 연구위원장의 사회로 진행 되었다.
첫 번째 주제 발표를 맡은 홍상영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은 “이제는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전략적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인도협력과 교류협력이 필요하고, 이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남북 인도협력법 제정, △민간과 정부 간의 공적 협력 거버넌스 구축, △접경지역 긴장 완화 및 ‘9.19 군사합의’ 복원, △시민 참여 및 사회적 대화 강화 등을 제시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손광주 북한인권민간단체협의회 상임대표는 “북한 인권 개선 문제는 인간의 기본권에 관한 사안으로, 국제사회와 남북관계, 국내 이슈와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며, “앞으로도 이 문제를 적극적이고 안정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정준희 전 통일부 대변인이 “한반도 통일환경 조성을 위한 국제사회, 정부, 시민사회 협력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정 전 대변인은 “통일환경 조성을 위해 북한을 국제사회로 이끌어낼 수 있는 관광, 자원, 환경 등 다양한 교류의 접점을 발굴해야 하며, 국내적으로는 통일의지 제고 및 역량 강화, 대외적으로는 통일외교의 강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안별로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국제사회, 정부, 시민사회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지정토론 시간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의견을 제시했다.
이경희 한국수출입은행 책임연구원은 “시민이 주도하는 남북 인도협력과 교류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전문지식과 공동 신념을 공유하는 집단으로서 정책 결정에 협력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 개념이 남북협력 추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역할은 NGO가 주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현정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부가 우선적으로 접근해야 할 인도적 문제는 이산가족 상봉이며, 이후 군 포로, 납북자, 억류자 문제를 순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정현 한국외대 교수는 “북한의 ‘두 국가론’ 제기를 계기로 국내외적으로 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강화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북한 인권 문제는 국제 기준 등 보편적 원칙에 기반해 일관성 있게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동시에 북한이 호응할 수 있는 분야에서의 적극적인 협력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 후에는 참석자들의 질의와 다양한 의견이 공유되며 포럼이 마무리되었다.
이번 서울 평화통일포럼은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 속에서 한반도 통일환경을 진단하고, 통일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었다.
- 소속명 : 참여협력과
- 작성자 : 박유순
- 연락처 : 02-2250-2291
- 작성일 : 2025.06.20
- 조회 : 336
-
※ 사용편의성조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