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와 통일 사회적 대화, 2025 전국 릴레이 원탁회의 “속초” 개최

평화와 통일 사회적 대화, 2025 전국 릴레이 원탁회의 “속초” 개최 


"다시 다가올 남북평화 시대를 위한 준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강원 속초시협의회(회장 한영환)는 8월 28일(목) 오후 2시, 마레몬스호텔에서 「2025 전국 릴레이 원탁회의 “속초”」을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접경지역인 속초에서 속초시 자문위원, 사회단체 회원, 지역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다시 다가올 남북평화시대를 위한 준비, 국민이 시작합니다"를 주제로 남북 평화협력과 우리의 실천방안에 대한 생각을 나누는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전체 참석자 사진


한영환 협의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속초에서 시민들이 함께 평화와 통일을 얘기하는 대화의 자리를 마련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 면서 "평화통일정책의 공론화 기반 마련에 속초가 함께하는 기회인 만큼 참석자 분들에게 의미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


▲한영환 속초시협의회장


대행기관장인 이병선 속초시장은 축사를 통해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북이 나뉘어 있을 때, 설악산은 북한의 땅이었음을 생각하면 평화와 통일의 의미가 속초시민들에게 더욱 와닿는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올해 속초에서 나누는 사회적 대화가 평화통일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 


▲이병선 속초시장


원탁별 대화는 OX퀴즈, 신호등카드를 이용한 주제토론, 모바일 실시간 공감투표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화에 앞서 참가자들의 사전의견 수렴 실시 및 그 결과를 공유했으며, 남남갈등, 세대갈등, 남북격차 등 평화와 통일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카드를 활용한 주제토론 


첫 번째 공감투표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을 위해 필요한 노력"을 주제로 대화 및 투표를 실시하였다 . △경제적 자립을 위한 연결, 직업교육 안내가 필요하다는 의견(69%)이 가장 많았으며, △지역사회 주민의 북한이탈주민 인식개선 교육 및 캠페인이 필요하다(55%)는 응답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참석자 중 북한이탈주민을 인터뷰하여 탈북 후 정착하면서 가장 필요했던 지원에 대해 묻고 답하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모바일을 이용한 공감투표 


두 번째 주제로는 "남북 평화협력을 위한 실천분야 찾기"에 대해 공감투표 및 대화 시간을 가졌다. 공감투표 결과, △남북 민간 교류의 상설화 등 법 제도화가 필요하다(46.3%)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국제 스포츠 행사 공동개최 선수단 구성 및 공동응원단 활성화(45.3%)가 그 다음 높은 공감을 보였다. 


이어서 진행된 세 번째 주제 시간에는 "긴장 국면에서 필요한 우리의 실천방안"에 대해 투표 및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투표 결과, △남북 학술 스포츠, 문화교류를 위한 민간소통 채널구축’이 필요하다(50%)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민간차원의 교류 협력 및 여행(44%)이 그 다음 응답률을 보여 남북 긴장국면에서 민간교류 협력을 통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높은 공감을 보였다.


▲의견 및 소감발표


참석자들은 강연이 아닌 대화의 방식에 몰입과 흥미가 높아졌으며, 대화를 통해 참석자 서로에게서 새로운 것을 배우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아울러, 앞으로도 다양한 참석자들과 평화통일을 주제로 새롭게 상호 연결되는 의미있는 기회가 더 많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행사 전경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7~8월, 전국에서 총 8회의 릴레이 원탁회의를 개최하였다. 서울(7.31.)에서 시작하여, 전남(8.12.), 김포(8.25.), 부산(8.27.), 대전(8.27.), 인천(8.28.), 속초(8.28.)를  끝으로 마무리 하였다. 금번 행사는 대북정책, 통일정책에 대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의 첫 단계로, 사회적 대화에 대한  시민의 이해를 제고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모색하고자 추진되었다. 민주평통은 앞으로도 자문위원과 시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 소속명 : 중부지역과
  • 작성자 : 오정아
  • 연락처 : 02-2250-2249
  • 작성일 : 2025.08.29
  • 조회 : 414

※ 사용편의성조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